주식투자를 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주식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주식투자 관련 유투브 영상을 볼 때마다 이런 단어가 나오면 머리가 복잡해지곤 했습니다. 오늘 깔끔하게 정리하고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겠습니다.

ROA(Reaturn On Assets)
총자산순이익률입니다. 즉, '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했는가?'입니다.
총자산/당기순이익 x 100 으로 계산합니다.
ROE(Reateurn On Equity)
ROA가 높으면 다 좋은 기업일까요? 아닙니다. 총자산에 부채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ROA와 함께 ROE도 함께 살펴보아야 합니다. ROE는 자기자본이이율입니다. 즉, 1년에 얼마를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는가? 입니다. 일반적으로 ROE≥10%면(10%이상이면) 전망이 좋은 회사라고 평가합니다.
당기순이익/자기자본 x 100 으로 계산합니다.
PER(Price Earning Ratio)
주가수익률입니다. 즉, 시가총액이 기업 연 수익의 몇배가 되는가? 입니다.
주가/1주당 순이익(EPS) = 시가총액/당기순이익
주당 순이익은 주식 1주가 1년 동안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 예를들어 A사 주식가격이 10만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만원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. PER이 낮으면 규모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것으로, PER이 높으면 규모에 비해 주가가 높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PBR(Price book Value Ratio)
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. 즉, 시총이 순자산(자본)에 비해 몇 배가 되는가? 입니다.
주가/주당 순 자산 = 시가총액/순자산 으로 계산합니다.
PBR 지표값이 크다
- 해석1, 기업의 자산에 비해 기업에 대한 평가 가치가 크다(고평가)
- 해석2, 성장성이 높은 기업
예를 들어) 바이오 게임 관련 기업 : 부동산, 고각의 장비 등의 자산이 필요하지 않은 산업
EBITDA (Earning Before Interest, Tax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)
EBITA=영업이익+이자+법인세+감가상각비 입니다. 즉,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현금을 얼마나 벌어들이는가? 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동종업계 기업들의 EBITA 지표를 비교해보면 어떤 기업이 똑같은 사업으로 소득창출 능력(펀더멘탈)이 뛰어난 기업인지를 알아낼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지표입니다.
EV/EBITA(Enterprise Value EBITA)
EV/EBITA=(시가총액+순차입금) / (영업이익+감가삼각비+무형자산상각비)
*순차입금(=순부채) = 전체 차입금 - 현금성 자산
기업의 소득창출능력에 비해 시장의 가치가 몇배가 되는가? 입니다. EV/EBITA가 낮다=저평가 되어있다. 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.